국민연금제도는 법이 제정되면서 출생연도에 따라 수급시기가 다릅니다. 대략 60세부터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고 60세 전, 후로 5년간 당기거나 늦춰서 받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신청방법과 어느 것이 더 유리한지 이유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관된 글
국민연금 수령 나이
1998년 국민연금법 상 만 60세부터 노령연금을 수령하기로 했지만 재정 및 고령화 등의 이유로 출생연도에 따라 수급 나이가 다릅니다. 1952년생 이전은 만 60세, 그 후부터 1년씩 늦춰졌고, 1969년생 이후부터는 만 65세부터 수령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국민연금 수령나이'와 5년 앞당겨 받을 수 있는 '조기연금 수령나이'는 아래 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문의 : 국민연금공단 1355
- 어플 : 내곁에국민연금
- 홈페이지 : NPS 국민연금
- 국민연금 공단본부 : 지사위치
- 금융감독원 : 내 연금조회(회원가입 필요)
국민연금 조기 수령 장점, 단점
국민연금 조기 수령 장단점
출생연도에 따른 국민연금 수령 연도와 조기수령 연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국민연금 수령나이에서 확인하신 것처럼 5년을 앞당겨서 조기 수령할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 수령할 경우 매년 6%씩 감액되기 때문에 5년을 앞당긴다면 총 30% 줄어든 금액으로 받게 됩니다.
기대수명이 길어진다고 하나 예상치 못한 건강악화 등의 이유로 생계비 마련에 도움 되며 미리 받아서 투자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도 적당하여 최근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많이 신청하는 추세입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1년에 6%씩 감액 | 5년 빨리 수령하면 총 30% 감액 |
1962년생 ~ 1964년생 국민연금 수령액을 기준으로 조기연금과 비교해 볼게요. 국민연금을 조기연금 수령과 정상 수령 비교 시 손익분기점은 77세입니다.
청구연령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지급률 | 70% | 76% | 82% | 88% | 94% |
-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 월 150만 원일 때
- 58세 5년 조기 연금 수령 : 월 105만 원
- 63세 연금 수령 : (상승률 3% 가산 포함) 월 174만 원
국민연금 조기 수령 신청 방법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를 통해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 가능합니다.
- 공인인증 회원가입 → 개인서비스 → 연금/일시금청구
- 필요서류 : 노령연금지급청구서, 신분증, 혼인관계증명서, 수급권자 예금계좌
국민연금 연기 수령 장점, 단점
5년 앞당겨 받는 조기연금 대신 국민연금 연기연금으로 5년 뒤 수령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년씩 연기, 총 5년 연기할 수 있으며 늦게 받는 대신 월 0.6%, 연 7.2% 인상된 금액, 5년 총 36% 늘어난 금액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5년 연기 시 총 36% 증가분과 물가상승률 3% 이 함께 적용
- 정상적으로 63세 국민연금 월 150만 원 수령할 때
- 68세 연기 수령액 : 월 237만 원
실제로 받는 국민연금 수령액의 차이가 꽤 큰 편인데요. 당장 소득의 공백이 없다면 국민연금 연기연금으로 수령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결론
국민연금 조기수령 장점, 단점, 조기수령 신청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조기연금, 연기연금을 실제 월금액만으로 결정하지 말고 현재 본인의 소득상태에 따라 선택하셔야겠습니다. 일부 재테크 전문가들은 조기수령을 추천하고 있으니 참고하셔도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년 6월 여행가는달 숙박할인권 발급 기간 및 사용방법
6월 여행가는달을 맞아 문체부에서 숙박할인권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월에 있었던 이벤트보다 할인 금액이나 규모가 훨씬 커졌는데요. 미리 알아보고 신청해서 저렴한 여행 다녀올 수 있도록
ky02.tistory.com
1분 만에 숨은보험금 찾기, 내보험찾아줌 신청 방법
2024년 찾아가지 않은 숨은보험금이 12조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2023년에 환급된 숨은보험금은 4조에 이른다고 하니 '내보험찾아줌'을 통해 못받은 보험금을 환급받아와야겠습니다. 내보험찾아줌
ky02.tistory.com
이혼 시 국민연금 분할 청구 조건 및 시기, 언제까지 할 수 있나요?
실질적으로 5년 이상 부부생활을 유지한 부부는 이혼을 했더라도 전 배우자의 국민연금을 나눠가질 수 있습니다. 결혼 기간 내 상대 배우자의 가정에 대한 기여도를 인정하는 제도인데요. 이혼
ky02.tistory.com
2024 무료 토정비결 : 대박 운세 OO띠!
새해가 다가오는 지금 어김없이 2024 토정비결은 가장 궁금합니다. 2023년 검은 토끼 해인 계묘년이 지나고 2024년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이 밝아옵니다. 더욱 궁금해지는 2024 토정비결을 알아볼 수
ky02.tistory.com
'국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 만에 숨은보험금 찾기, 내보험찾아줌 신청 방법 (0) | 2024.05.24 |
---|---|
이혼 시 국민연금 분할 청구 조건 및 시기, 언제까지 할 수 있나요? (0) | 2024.04.25 |
동남아 여행 후 뎅기열 무료검사, 2024년 지원 확대! (0) | 2024.04.12 |
국회의원 사전투표소 위치 찾기 방법, 주의해야 할 점은? (0) | 2024.04.04 |
서울 시내버스 파업 이유 및 대책, 기사 월급은 얼마이길래? (0) | 2024.03.28 |